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자격증 취득을 위해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다. 실습기관 학교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동명대평생교육원에서 실습과목 이수한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원격평생교육원에서 8과목을 이수하고 코로나 기간이지만 실습을 하기로 하였다. 학사졸업이고 사회복지 관련과목 17 과목을 이수해야 된다. 그중 실습과목 1과목은 반드시 현장실습을 해야 한다. 실습과목을 이수하기 전공필수과목 4과목 이상을 했기 때문에 실습과목 수강 신청이 가능했다. 실습시간 160시간을 이수해야 되나 코로나로 인해 간접실습이 가능하여 80시간은 직접 실습을 하고 80시간은 간접실습을 하였다.
실습을 하기 위해 10군데 이상의 사회복지기관에 전화를 하였다. 실습을 받아주는 기관은 없었다. 겨우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습을 하기로 하고 80시간을 하였다. 실습시작 전에는 부담이 많이 되었으나 시작하고 나니 별 어려움 없이 마치게 되었다. 처음 시작하려면 낯설고 어떤 기관에서 해야 할지 막막할 것이다. 그래도 포기하지 많고 10군데 이상의 기관에 전화하면 좋은 소식이 올 거라 생각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절차, 실습의 법적요건, 실습의 내용 바로가기
동명대평생교육원 실습후기
동명대학은 부산 남구에 있는 대학이다. 주변의 지인들은 거의 동명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실습을 하였다. 그래서 선택의 여지가 없이 동명대학을 선택하게 되었다. 또 지인이 전 학기에 사용한 교재를 대물림해 주어 교재를 살 필요가 없었다. 집에서 제일 가깝다는 장점도 있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실습 160시간, 30시간의 세미나 시간이 있어 매주 토요일 7회 정도 학교에서 직접 수강을 하였다. 온라인으로 공부를 하다가 현장에서 직접 수강하는 재미도 있었다. 주차장이 여러 군데 있어 주차걱정이 없었고 강의실도 넓고 쾌적하였다. 타 대학에 수강하려고 알아보니 15주 동안 매번 2시간씩 해야 되었는데 7회에 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15번을 학교에 가는 것보다 7번 학교에 가는 것을 선택했다.
수업시간은 10시부터 진행되었고 교재가 있어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가 잘 되었다. 학교에서 사전 공부를 했기 때문에 현장에 가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일지 작성하는 방법, 기관분석보고서 작성, 중간평가, 종결평가 등을 작성하는데 문제없이 작성할 수 있었다.
학교 수업 중이었지만 평일에는 현장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도 있어 현장에서의 경험을 전달받기도 했다. 필수선택과제 3개 중 한 개를 선택해서 제출해야 되는 과제가 있었다. 과제에 대한 설명과 이해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모르는 부분은 교재를 참고하여 작성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 실습을 나가보니 동명대학에 학생들이 많이 모이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타대학 학생들은 교재 없었고, 참고자료도 많이 부족한 것 같았다.
현장실습은 수업을 다 마친 후에도 끝나는 게 아니다. 사후 관리가 더 중요한 것 같다. 실습이 끝나면 서류를 챙겨 사회복지 협회에 자격증도 신청해야 된다. 수업 중 자세한 설명을 해주어 도움이 되었다.
대학 캠퍼스도 넓고 주차장도 여러 군데 있어 편하게 이용하였다. 울산, 창원, 밀양, 김해, 거제 등 타 지역에서 수강생도 많았다. 해운대에서도 접근이 용이하다. 광안대교, 북향대교, 동서고가도로, 번영로 등 사통팔달의 위치에 있다. 광안대교를 타면 울산까지 1시간 내외 진출입이 가능하고, 북향대교를 타고 거제도 까지도 편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주말을 이용해 거제, 울산에서도 수강생들이 있는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