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6요소와 창의 성향 테스트를 해보자, 창의성에는 다양한 요소가 있다. 창의 성향 테스트는 나의 강점과 약점을 알 수 있다. 21세기는 창의성 필수 시대다. 창의성 6요소를 기본으로 무장할 수 있다.
창의성 6요소
창의성의 구성요소는 학자들의 철학적 배경과 정의에 따라 다르다. 길포드(Guilford, 1967)는 인간의 사고를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로 나누어 창의성을 확산적 사고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민감성, 재정의로 보았다.
로웬펠드(Lowenfeld)는 창의적 사고력의 구성요인으로 감수성, 융통성, 유연성, 독창성, 재구성력, 분석과 추상력, 종합과 결합, 조직의 일관성 등 8가지 구성요소로 보았다. 학자들의 주장에 공통적인 요인들 중 인지적인 요인과 정의적인 요인으로 나누고자 한다.
창의성에서 인지적 능력이란 창의적 사고 기능을 말한다. 창의적 사고 기능은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의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정의적인 요인은 인간의 성취에 작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내적인 동기나 태도를 말하는 것이다.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인 요인으로 구성된 창의성 6가지 구성요소는 감수성(Sensitivity), 유창성(Fluency), 유연성(Flexibility), 독창성(Originality), 재정의(Reidentification), 정교성(집중)(Elaboration) 등이다.
각 개인마다 창의적 특성이 다르다. 개인검사를 통해서 그 사람 강약점을 알 수 있다. 장단점이 아닌 강약점을 파악해서 부족한 점을 보충해야 한다. 감수성은 어떤 상황을 보고 그냥 넘어가지 않고 늘 문제의식, 호기심이 있다. 유창성은 많이 생각하고 언어의 다양한 능력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낸다. 유연성은 선입견 없이 엉뚱한 생각도 받아들인다. 독창성은 신규성, 의외성이 있고 그만의 독특한 매력이 있다. 재 정의는 여러 관점에서 보는 능력이고 엉뚱한 용도를 잘 찾아낸다. 집중은 목표 완성을 위해 집중하는 능력이다.
감수성(Sensitivity)
문제의식, 호기심, 민감성이다. 어떤 상황, 물건을 어떠한 물건을 보고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일상생활 중 늘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감수성이 높은 사람은 호기심이 높다. 늘 질문을 하고 다른 사람 말에서 뭔가 얻으려고 하고 언제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자기를 포함한 주변을 늘 새롭게 생각하고 바라본다. Sensitivity의 반대 개념은 Insensitivity, 즉 무감각이다. 주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통 관심이 없는 경우가 무감각한 것이다. 호기심을 유지하는 하는 사람에게만 뭔가 새로운 것이 보인다.
유창성(Fluency)
유창성이란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나 반응을 생각해 내는 것이다. 우리는 정보가 사용될 수 있을 때까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유창성은 한 개인이 저장된 정보와 무제를 즉각적으로 연결 지을 때 나타나는 선택적인 회상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유창성은 쉬지 않고 머리에서 계속 생각이 나오고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유창성이 좋은 사람은 어떤 묘사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언어능력도 높고 발상이 쉽게 되는 편이다. 언어와 두뇌회전이 비례한다.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 머리가 좋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쉽게 단어가 떠오른다면 머리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유연성(Flexibility)
유연성은 융통성이다. 하나의 주류를 이루는 생각으로부터 다른 생각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고 문제를 새롭고 다른 방법으로 감지하는 능력이다. 아이디어 산출과정에 있어서 융통성의 개발은 중요하다. 유통성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대안을 찾을 수 있다. 엉뚱한 생각도 받아들이고 선입견을 갖지 않는다. 자기만이 옳다고 주장하지 않고 다른 사람 이야기를 잘 듣고 다름 사람의 가치관을 받아들인다. 유연성의 반대개념은 경직성이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에 집착하는 사람들이고 고지식한 사람들이다. 나이가 들어가면 고집을 부리는 경우도 경직된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다.
독창성(Originality)
독창성이란 문제에 대하여 통상적인 것에서 탈피하여 독특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는 능력이다. 창의적 사고의 이상적인 목표는 사고의 독창성을 추구하는 데 있다. 독창성은 의외성이다. 다른 사람들이 생각지도 못하는 것들을 생각해내기도 하고 독특한 매력이 있다. 독창성이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같지 않으려 노력하기도 한다. 유머와 농담을 할 줄 알고 남과 다른 복장을 하고도 별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 과학적 아이디어에도 독창성이 중요하다.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독창성은 생명이다.
재정의(Reidentification)
여러 가지 일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봐야 될 수 있다. 다른 면을 봐야 된다. 이런 특성이 있는 사람은 물건의 원래 용도보다는 엉뚱한 용도를 잘 찾아낸다. 이런 사람들은 같은 문제를 풀더라도 가능한 답을 더 많이 낼 수 있다. 문제에서 한 개 답이 아니라 여러 답을 낼 수 있다.
정교성(집중)(Elaboration)
정교성은 다듬어지지 않은 기존의 아이디어를 구체적화시키는 것이다. 이미 많은 양의 산출된 아이디어를 최종적인 산출형태에 비추어 평가하고 정교하게 다듬는 사고가 필요하다. 정교하게 다듬는 활동은 노력과 집중이 되어야 한다. 아이디어 발상단계 특히 실용화단계에서 필요한 능력이다. 발상단계에서 계속해서 생각하는 집중을 한은 능력이다. 창의성은 다 쓴 치약 짜내기에 비유되기도 한다. 다 쓴 치약이지만 다시 짜내면 또 쓸 만큼이 나오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창의성은 때로는 짜내야 한다. 어려움을 이기는 방법은 노력과 집중이다. 이런 특성을 가진 사람은 끈기가 있는 사람이다. 꺾이지 않고 도중에 포기하지 않고 계속 그 일을 해나가는 우직함이 있다.
창의성 성향 테스트 하기
창의 성향 테스트는 30문항이다. 상당히 그런 편이다 5, 많이 그렇다 4, 보통이다 3, 비교적 아니다 2, 거의 아니다 1로 표시한다.
감수성 1,7,13,19,25, 재정의 2,8,14,20,26, 독창성 3,9,15,21,27, 유연성 4,10,16,22,28, 유창성 5,11,17,23,29, 정교성(집중) 6,12,18,24,30이다. 아래 번호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한다. 본인의 점수를 도표에 그려보고 본인이 약한 면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창의성 6가지 요소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확인하셨나요? 창의성 6개 요건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 요건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일부 요건은 상대적으로 낮다. 누구는 호기심이 많고 누구는 끈질기게 무엇을 기필코 해내는 사람도 있다. 사람마다 낮은 부분을 더 보충하려는 노력만 있다면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
창의력의 본질, 창의력의 정의, 통찰적 아이디어, 사고 방법
창의력의 본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창의력의 정의, 통찰적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 수직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에 대해 알아봅니다. 창의력을 발휘하려면 두 가지 조건과 탁월한 아이디어를 얻
gaga8808.com
출처: 쓸모없는 아이디어는 없다(김은기, 2019)
삶 속의 창의성을 찾아서(최미정, 2019)
댓글